오는 2027년부터 국가공무원 채용시험이 대폭 개편됩니다.
공직적 격성평가(PSAT)를 다양한 공공부문의 채용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검정시험으로 분리 시행하고
국가공무원 9급 공개채용시험에서 한국사 과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할 예정입니다.
개편이 완료되면 수험생은 한 번 취득한 공직적격성평가 성적을 인사처 주관 5·7급 공채 시험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공부문 채용시험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공시생 필수
또한 2027년부터 국가공무원 9급 공채 필기시험의 공통과목인 한국사 과목을 국사편찬위원회 주관 한국사능력검정시험(3급 이상)으로 대체하게 됩니다.
이는 지난 2012년과 2021년에 각각 국가공무원 5·7급 공채 시험의 한국사 과목을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한 이후 6년 만에 확대 적용하는 것입니다.
한국사 과목을 대체하는 급수는 3급 이상으로, 현행 5·7급 공채에서 2급 이상 취득을 요구하는 점을 고려했습니다.
이를 통해 수험생의 부담을 줄이고 직무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과목에 집중할 수 있게 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일정
2025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일정 한 번 살펴 볼까요?
현시점에서
1) 제74회
원서접수 2025년 4월 22일(화) ~ 4월 29일(화),
시험일 5월 24일(토),
합격자 발표 6월 5일(목) (심화 시험만 시행)
2) 제75회
원서접수 2025년 7월 9일(수) ~ 7월 16일(수),
시험일 8월 9일(토),
합격자 발표 8월 22일(금)
3) 제76회
원서접수 2025년 9월 23일(화) ~ 9월 30일(화),
시험일 10월 18일(토),
합격자 발표 10월 31일(금) (심화 시험만 시행)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원서접수
원서 사진 수정기간 및 수험표 출력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은 일정기간 유효하며
국가공무원 시험에서도 일정 기준 내의 성적만 인정됩니다.
현재 5,7급 공채에서 요구되는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2급 이상의 유효기간은 4년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9급 공채에서도 유사한 기준이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수험생들은 미리 시험을 응시하여 유효기간 내에 공무원 시험에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합니다.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유효기간은 시험 합격일로부터 5년으로 조정될 예정이며,
이는 2025년 이후 응시자부터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원서접수
제74회: 원서 수정 기간 2025년 4월 30일(수) ~ 5월 16일(금), 수험표 출력일 5월 20일(화)
제75회: 원서 수정 기간 2025년 7월 16일(수) ~ 8월 1일(금), 수험표 출력일 8월 5일(화)
제76회: 원서 수정 기간 2025년 9월 24일(수) ~ 10월 10일(금), 수험표 출력일 10월 14일(화)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수수료
심화(1,2,3급): 27,000원
기본(4,5,6급): 22,000원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준비물
1) 수험표
2) 신분증
3) 컴퓨터용 수성사인펜, 수정테이프(수정액 제외)
시험 당일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홈페이지(www.historyexam.go.kr)에서 수험표를 출력해야 합니다.
수험표에는 본인 확인이 가능한 증명사진이 있어야 하며, 본인 식별이 불가능할 경우 응시가 제한됩니다.
한국사 능력검정시험 공시생 전략
한국사 능력검정시험이 9급 공채 시험에서 필수 요건으로 도입되면서, 수험생들은 이를 전략적으로 준비해야 합니다.
기존 공무원 시험에서 한국사는 필수 과목이었지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으로 대체되면서 미리 시험을 보고 합격해 두면 이후 공무원 시험에서 한국사 과목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보다 직무 관련성이 높은 과목에 집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은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서 요구하는 3급 이상의 수준을 목표로 학습해야 합니다.
시험에서는 선사 시대부터 현대사까지의 한국사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며,
특히 시대별 주요 사건, 문화, 경제, 정치 등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기출문제를 분석하고 모의고사를 풀어보면서 출제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한국사 검정능력시험 개편 기대효과
이번 개편을 통해 공공부문 채용시험 간의 호환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험생들은 한 번 취득한 공직적격성평가(PSAT) 성적을 활용하여
다양한 공공부문 채용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미리 통과하면 다른 과목에 보다 집중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됩니다.
또한, 한국사 과목을 대체함으로써 시험 부담이 줄어들고 보다 효율적인 학습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됩니다.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이 공무원 시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 만큼,
수험생들은 시험 일정과 유효기간을 철저히 관리하고 전략적으로 준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앞으로의 변화에 맞춰 대비하면 공무원 시험 합격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